env

최근에 주변 지인이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배포를 돕는 과정에서 Docker의 환경 변수를 주입하는 방법을 이것저것 설명해 주었다. 주된 내용은 빌드 타임의 환경 변수 주입과 런타임의 환경 변수 주입이 다르다는 이야기였는데, 결과적으로는 잘 해결이 되었으나 설명하면서도 살짝 애매한 부분이 있었다. 환경 변수라는 것을 넣어줄 수 있는 부분은 굉장히 많다. (1)Dockerfile에 정의해 줄 수도 있다. ENV나 ARG가 이에 해당한다. 그리고 (2). env 파일을 만들어서 dotenv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에서 환경 변수를 끌어다 쓸 수 있게 해 줄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3) 바깥쪽의 오케스트레이션 툴(Kubernetes, docker-compose)도 환경 변수를 주입해 줄 수 있는데, 만약 ..
· CS/OS
환경 변수는 프로세스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의 모임이다. - wikipedia 위키피디아에 따른 환경 변수의 사전적 의미는 위와 같다. OS의 환경 변수는 시스템의 실행 파일이 놓여 있는 디렉터리의 지정 등 OS 상세적으로 응용소프트웨어가 참조하기 위한 설정이 기록된다. 응용소프트웨어는 시스템콜(system call)이나 OS의 표준 API 등을 통하여 간단히 값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쉽게 이야기해서 OS 각자 깊숙이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쉽게 꺼내 쓰기 위해서 미리 변수로 등록해 놓는 것을 말한다. 환경 변수란 무엇인가? 똑똑하면서도 어리버리한 컴퓨터를 위해서 미리 경로나 값 등을 지정해 둔 것을 환경 변수(env)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python main...
서버를 이전하기 위해서 어느날 datagrip으로 postgres server에 커넥션을 물었더니 에러가 발생했다. DB는 주로 postgres를 쓰는 편인데, 모든 local postgres 서버가 커넥션에 실패하는 것을 보고 터미널로 에러를 확인해보았다. psql: error: connection to server on socket "/tmp/.s.PGSQL.5432" failed: No such file or directory Is the server running locally and accepting connections on that socket? 어떻게 된 일인가 싶어 그대로 구글링해보니 상당히 많은 레퍼런스가 나왔다. 생각보다 빈번히 발생하는 에러인 것 같아 쉽게 해결할 수 있을 줄 알았으..
marsboy
'env'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