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h 연결이란 무엇일까? 간단하게 생각한다면 22번 포트로 원격 접속을 하는 것? 간단하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할 때까지만 해도 22번 포트로 원격 접속을 하는구나 정도로 알고 있었지만 linux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하기 시작하면서 ssh에 대해 깊은 이해를 전달하고자 포스팅을 작성한다. 처음에 ssh 연결이 생각했던 것과는 다르게 동작하는 것을 보면서 호기심이 점점 생겼다. 지금 일하는 곳에서 linux를 굉장히 하드하게 쓰게 되다보니 ssh에 대해서 자세히 공부해야할 때가 있었는데, 관련해서 ssh가 뭔지 깊게 정리해서 포스팅하면 좋을 것 같아 글을 쓰게 되었다. 본론SSH(Secure Shell)은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서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거나 로그인하거나 명..
개발을 처음 시작하며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공부했을 때에는 단순히 어떻게 코드를 작성해야 데이터를 보내고 받을 수 있는 지에 대해서만 고민하기 시작했다. 점점 다양한 API를 만들어가고 다양한 사람들과 협업하면서 RESTful한 아키텍처를 지키려고 노력하게 되었다. 대부분의 레퍼런스가 모두 이 RESTful 원칙을 지켜서 API를 만든다. 그래서 별 생각 없이 은연중에 따라 RESTful을 지켜 개발하곤 한다. 오늘은 이러한 RESTful이 뭔지 자세히 정리해보려고 한다. 본론API란?먼저 API는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자이다. 이 API라는 것을 통해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게 생각하면 이 API라고 하는 것의 범위가 굉장히 넓..
평소에 백준 사이트에서 PS 문제를 푸는 것을 좋아한다. 알고리즘을 공부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재미있고, 코딩 테스트를 언제든 준비할 수 있게끔 녹슬지 않게 실력을 가꾸기 위해서이다. 직접 백준 문제를 풀면서 파이썬을 통해 백준 문제를 풀 때 알아두면 좋은 것들을 정리하려고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는 것은 파이썬으로 백준 문제를 풀 때에 꼭 알아두어야 맞왜틀( 맞았는데 왜 틀리지 )을 방지할 수 있을만한 내용들이다. 본론시간복잡도 계산알고리즘을 푼다라고 하면 가장 기본적인 것은 시간복잡도 계산이다. 알고리즘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지만, 우리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알고리즘의 시간 복잡도를 알고 있다고 가정하자. ( 예를 들어 이진 탐색의 시간 복잡도가 O(logN)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 ) 그리고 다음 문..
인터넷의 다양한 웹사이트를 살펴보면 도메인을 입력하면 웹사이트에 연결된다. 이러한 당연한 기능을 막상 구현하려고 하면 생각보다 다양한 부분에서 의문이 생기게 된다. 예를 들어 node 프로젝트를 클라우드 서버(AWS EC2, GCP VM 등)에서 3000번 포트로 실행시키면 IP와 PORT를 통해서 접근해야 한다 ( http://127.0.0.1:3000와 같이 ) 이렇게 기본적인 서버 실행만 시킨다면 AWS 및 GCP 등 클라우드 서비스나 온프레미즈를 통해 웹 프레임워크를 실행시키면 깔끔한 도메인을 갖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뒤에 포트를 붙이거나, http로 연결된다거나 등 ) 이러한 것들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것이 Nginx과 같은 웹 서버이다. nginx(엔진엑스)는 웹 서버로 HTTP와 ..
배포 파이프라인을 구현하는 과정에서 Java 계열과 node 계열 프로그래밍 언어들이 동작이 미묘하게 다르다는 것을 느꼈는데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차이점으로 인한 것이었다) 관련 내용에 대해서 트러블슈팅하는 과정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요약하여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의 차이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한다. 또한 전공 수업을 들으면서 C언어의 복잡한 컴파일 과정을 살펴보면서 생긴 개인적인 호기심을 해결하기 위해 조사하며, 함께 자바스크립트의 동작 원리도 좀 살펴보고 개인적인 호기심을 통해 조사한 내용을 읽기 쉽게 최대한 집약해 두었다. 차례차례 빌드, 컴파일, 인터프리터, 하이브리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빌드(Build)먼저 빌드(Build)라는 것은 단어의 뜻에서 알 수 있듯이 뭔가를 짓는다는 것이다...
패키지 매니저의 정의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package manager는 컴퓨터의 운영 체제를 위해 일정한 방식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설치, 업그레이드, 구성, 제거 과정을 자동화하는 소프트웨어 도구들의 모임이다. - wikipedia 패키지(package)는 라이브러리와 비슷한 개념인데, 라이브러리는 특정한 기능을 위해서 미리 만들어둔 코드의 집합이다. 패키지는 이러한 라이브러리를 다른 사람들이 쓸 수 있게끔 잘 포장되어 있는 형식이다. npmjs.com 사이트에 접속하면, 위 내용을 볼 수 있다. npm은 node.js 환경에서 작동하는 패키지들을 다룰 수 있게 도와준다. npm 명령어를 사용하면 npmjs라는 software repository에서 패키지 소스를 가져올 수 있다. 해당 사이트에..
환경 변수는 프로세스가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동적인 값의 모임이다. - wikipedia 위키피디아에 따른 환경 변수의 사전적 의미는 위와 같다. OS의 환경 변수는 시스템의 실행 파일이 놓여 있는 디렉터리의 지정 등 OS 상세적으로 응용소프트웨어가 참조하기 위한 설정이 기록된다. 응용소프트웨어는 시스템콜(system call)이나 OS의 표준 API 등을 통하여 간단히 값을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쉽게 이야기해서 OS 각자 깊숙이 있는 응용프로그램을 쉽게 꺼내 쓰기 위해서 미리 변수로 등록해 놓는 것을 말한다. 환경 변수란 무엇인가? 똑똑하면서도 어리버리한 컴퓨터를 위해서 미리 경로나 값 등을 지정해 둔 것을 환경 변수(env)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python main...
공문서를 다운로드할 때 가끔씩 키보드 보안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맥북을 통해서 진행할 수 없었기에 집에 있는 윈도우 노트북에 원격 접속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여 자료를 찾아보게 되었다. 이 외에도 윈도우 OS에서만 작동하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있기 때문에 RDP를 이용하게 되었다. 네트워크 용어에 익숙하지 않는 사람을 위해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호스트(host) :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포트(port) : 컴퓨터의 어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논리적 주소 ( 0 ~ 65535 )클라이언트(client) : 접속을 시도하는 호스트서버(server) : 접속을 허락하는 호스트엔드포인트(endpoint) : 접속을 하락하는 호스트의 IP 주소 ( 포트는 제외 )같은 네트워크 : 같은 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