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를 위한 디자인 패턴이 있을까? 이 책은 아주 기본적인, 그저 매니페스트 하나를 소개하는 디자인 패턴에서부터 시작해,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식을 알려주는 책이다. 초반에는 간단한 service에 대한 설명과 함께, 이러한 내용도 패턴인가? 싶은 수준으로 소개를 한다. 하지만 점점 내용들을 읽어보면서, 기본적인 매니페스트와 살짝의 디테일을 추가하여, 한 줄 정도로 알고 있던 것을 최소 세 줄, 네 줄 정도 더 설명할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예를 들어 statefulSet과 같은 매니페스트는, 말 그대로 레디스와 같은 Pod이 떴다가 내려갔다 할 때, 필요한 스테이트풀(Stateful)한 상태를 만들어주는 게 아닌가? 와 같이 한 줄로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책을 통해 디테일에 접..
신디와 제가 호주에 갔을 때, 저희는 퀸즐랜드 해안의 열대 우림에서 시간을 좀 보냈습니다. 이 지역 자연의 경이로움 중 하나는 거대한 '교살 무화과나무(strangler figs)'입니다. 이 나무는 다른 나무의 위쪽 가지에서 씨앗을 틔워 점차 그 나무를 타고 내려와 결국 흙에 뿌리를 내립니다. 여러 해에 걸쳐 환상적이고 아름다운 형태로 자라나는데, 그러는 동안 자신들의 숙주였던 나무를 목 졸라 죽이고 맙니다. 위 내용은 마틴 파울러라는 사람이 호주에 갔을 때, 본 무화과 나무를 보고 쓴 글이다. 무화과 나무는 다른 나무의 표면에 붙어 살다가 그 나무를 뒤덮는다. 점점 기존의 나무는 생기를 잃고, 무화과 나무는 숙주 나무 영양분을 흡수하면서 점점 위에서부터 뿌리쪽으로 반대로 자라나게 되고, 결국 모든 나..
스펙이란 무엇인가? 양복을 만드는 재단사에게 치수나 어깨너비, 사이즈 등이 적힌 "스펙"이 있다면, 모두가 똑같은 양복을 만든다. 반면 소프트웨어는 어떤가? "스펙"을 적어서 개발자에게 주면, 어떻게 될까? 이 책은 전반적으로 스펙에 대한 이야기를 말한다.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만드는지, 무엇을 만드는지 그러한 방법들에 대해 기술한 문서를 SRS(Software Requirements Specification)이라고 하며, 왜 SRS가 필요한 지에 대해서 책의 중후반까지 설명하고, 2부는 SRS를 작성하는 목차에 대해서 설명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책 소개이 책의 주제 및 목표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어떻게 만들 것인지 구성하는 것 "스펙"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아주 자세하게 상술한다. 일반적으로 개..
CKA라는 자격증에 대한 정보는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다. 다만 쿠버네티스를 그렇게까지 사용하지 않았을 때였고, 공부를 해볼까라는 생각은 전혀 못했던 것 같다. 하지만 CKA를 주최하는 Linux Foundation은 매년 12월에 사이버 먼데이라고 50% 시험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데, 사악한 비용을 자랑하는 CKA 시험을 싸게 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이전에 AWS 자격증을 딴 적이 있다. AWS 자격증을 따면서 좋았던 점은 공부하기 전에는 그냥 구현만 어느정도 꽤 할줄 알았고 자세한 디테일은 잘 몰랐다. 예를 들면 서브넷이나 VPC에 대해서 신기했던 점은 AWS로 들어오는 트래픽은 무료지만 나가는 트래픽에 전송 비용이 든다는 점이다. 동일 Region에 동일 AZ끼리는 무료, 다른 AZ끼리는 약간의..
먼저, 간단한 프리뷰를 하자면 준비 기간은 약 5주 정도였던 것 같다. 퇴근하고 나서 공부할 때도 있었지만, 학부연구생을 하고 있어서 온전히 퇴근한 시간을 쓸 수 없었기 때문에 5주 정도였다. 퇴근하고 나서 온전히 시험에 투자할 수 있다면 3~4주, 아니면 일을 하고 있지 않아서 정말 하루 종일 공부할 수 있다면 2주 정도로 합격할 수 있을 것 같다. ( 사람에 따라 다름 ) 시험을 보게 된 계기는 그동안 너무 AWS를 오래 사용했지만 자세히 알지 못하고 쓰는 감이 있어서 AWS에 대한 자세한 이해가 하고 싶었고, 평소에 자격증 공부를 하는 취미가 있어서 공부하게 되었다. 자격증을 준비하면서 생각보다 강의 내용도 알찼고, 시험에 합격하고 나서는 정말 모든 아키텍처들에 대해서 어떻게 어떻게 구성해야 될지 ..